AngzavA
[정보처리기사 실기] sec175 ~ 180 본문
Section 175. 인터넷
전 세계 수많은 컴퓨터와 네트워크들이 연결된 광범위한 컴퓨터 통신망
IP 주소 :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 자원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한 주소, 8비트 4부분 총 32비트
- A class : 국가/대형통신망, 0 ~ 127
- B class : 중대형 통신망, 128~191
- C class : 소규모 통신말, 192~223
- D class : 멀티캐스트용, 224~239
- E class : 실험적 주소
서브네팅 : 할당된 네트워크 주소를 다시 여러 개의 작은 네트워크로 나누어 사용하는 것
-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하기 위한 비트 = 서브넷 마스크
IPv6 , IPv4보다 낫다.. 이정도
구성 : 16비트씩 8부분, 128비트
- 유니캐스트 : 1대1 통신
- 멀티캐스트 : 1대다 통신
- 애니캐스트 : 1대 1 통신, 가장 가까운
도메인 네임 : 숫자로 된 IP주소를 문자 형태로 표현, 변환 시스템 = DNS
Section 176. OSI 참조 모델
ISO에서 제안한 통신 규약(프로토콜)
- 하위 계층 : 물리 > 데이터 링크 > 네트워크
- 상위 계층 : 전송 > 세션 > 표현 > 응용
물리 계층 : 물리적 전송 매체와 전송 신호 방식 정의 / 리피터, 허브 / RS-232C, X.21
데이터 링크 계층 : 두 개의 인접한 개방 시스템 간의 신뢰성있는 전송을 할 수 있도록 시스템간 연결 설정과 유지 및 종료, 오류 제어, 순서 제어 / 랜카드, 브리지, 스위치 / HDLC, LAPB, LLC, MAC, LAPD, PPP
네트워크 계층 : 네트워크 관리 및 데이터 교환 및 중계 / 라우터 / IP, X.25
전송 계층 : 종단 시스템 간 투명한 데이터 전송, 하위와 상위의 인터페이스 담당 / TCP, UCP / 게이트웨이
세션 계층 : 송수신 간 관련성 유지 및 대화 제어
표현 계층 : 통신에 적당한 형태로 변환
응용 계층 : 응용프로그램이 OSI 환경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제공
Section 177. 네트워크 관련 장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 컴-컴/컴-네 연결하는 장치, 이더넷 카드(랜카드) 또는 네트워크 어댑터
허브 : 각각 회선을 통합 관리, 리피터 역할 포함, 사내에서 사용
리피터 : 수신한 신호를 재생시키거나 출력 전압을 높여 전송하는 장치, 물리계층에서 동작
브리지 : 랜과 랜을 연결하거나 랜 안에서의 컴퓨터 그룹을 연결하는 장치
스위치 : 랜과 랜을 연결하여 더 큰 랜을 만듬
라우터 : 브리지/스위치 + 데이터 전송의 최적 경로 선택
게이트웨이 : 프로토콜 구조가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
Section 178. TCP/IP
프로토콜 : 데이터 교환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표준화시켜 놓은 통신 규약
- 구문 :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형식, 부호화, 신호 레벨 등을 규정
- 의미 : 협조사항과 오류 관리를 위한 제어 정보를 규정
- 시간 : 통신 속도, 메세지 순서 제어등을 규정
TCP/IP : 서로 다른 기종의 컴퓨터들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표준 프로토콜
TCP : 전송 계층, 가상 회선 방식의 연결형 서비스를 제공
IP : 네트워크 계층, 비연결서비스 제공
TCP/IP 구조 =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 인터넷 계층 > 전송 계층 > 응용 계층
응용, 표현, 세션 = 응용 계층
전송 계층
네트워크 계층 = 인터넷 계층
데이터 링크, 물리 =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응용 계층 프로토콜
- FTP : 컴-컴/컴-인 사이의 파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원격 File Transfer Protocol
- SMTP : 전자 우편을 교환하는 서비스 Mail Transfer
- TELNET : 원격 접속 / 가상의 터미널 기능 수행
- SNMP :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 Network Mange Protocol, 표준 통신 규약
- DNS : 도메인 이름을 IP주소로 매핑하는 시스템
- HTTP : 웹 HTML 문서 송수신 프로토콜
전송 계층 프로토콜
- TCP : 연결형 프로토콜, Transmission Control
- UDP : 비연결형 프로토콜, User Datagram
- RTCP : Real Time Control Protocol
인터넷 계층 프로토콜
- IP : 전송할 데이터는 주소에 지정, 경로 설정 기능 / 비연결형 데이터그램
- ICMP : IP와 조합하여 오류 처리와 전송 경로 변경 제어 메시지 관리, Control
- IGMP : 멀티캐스트 지원 호스트나 라우터 사이에서 유지를 위해 사용, Group
- ARP : Address Resolution Protocol, 호스트 IP주소를 MAC으로 바꿈
- RARP : Reverse ARP, MAC을 IP주소로 변환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프로토콜
- 이더넷(Ethernet = IEEE 802.3) : CSMA/CD 방식의 랜
- IEEE 802 : 랜 표준 프로토콜
- HDLC : 비트 위주 데이터 링크 제어 프로토콜
- X.25 : 패킷 교환망을 통한 DTE와 DCE 간의 인터페이스 제공 프로토콜
- RS-232C : 공중 전화 교환망을 통한 DTE와 DCE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토콜
Section 179. 네트워크 관련 신기술
- M2M : Machine to Machine, 무선 통신을 이용한 기계와 기계 사이의 통신
- 그리드 컴퓨팅 : 지리적 분산된 컴퓨터를 초고속 인터넷망으로 연결 공유 > 고성능 컴퓨터처럼 활용
- 메시 네트워크 : 차세대 이동통신 등 새로운 목적 네트워크 기술, 대규모 디바이스 네트워크 생성에 최적화
- 인터클라우드 컴퓨팅 : 각기 다른 클라우드 연동, 자원 동적 할당, 여러 클라우드를 연결
- 와이선 : 스마트 그리드와 같은 장거리 무선통신 필요로하는 서비스를 위한 저전력 장거리 통신 기술
- NDN : Named Data Networking, 콘텐츠 정보와 라우터만으로 데이터 전송 수행, IP를 대체할 아키텍쳐로 떠오름ㄷ
- NGN : Next Generation Network, 차세대 통신망, 완전한 이동석 제공 목표 개발중
- SDN : SW Defined Networking, 네트워크를 컴퓨터처럼 모델링하여 사용자가 가상화하여 제어하고 관리
- UWB : Ultra WideBand, 초광대역
- 피코넷 : 독립된 통신장치들이 블루투스나 UWB 통해 통신망을 형성하는 무선 네트워크 기술
- WBAN : Wireless Body Area Network, 웨어러블 또는 임플란트 형태 센서나 기기 무선으로 연결
- USN : 유비쿼터스 Sensor Network, 센서로 정보 무선 수집 네트워크, RFID 태그 부착
- SON : Self Organizing Network, 자동 구성 네트워크, 주변 상황에 맞추어 스스로 망 구성 네트워크
- 애드 혹 네트워크 : 재난 현장같은 유선망 구축 불가 장소에서 모바일 호스트를 이용한 네트워크
- 네트워크 슬라이싱 : 코어 네트워크 인프라를 분리하여 고객 맞춤형 서비스 제공 목적
- BLE : 저전량 블루투스 기술, 절전모드
- 지능형 초연결망 : 스마트 시티,,
- WDM : 파장 분할 다중화, 광섬유 이용 통신기
- SDDC : Software Defined Data Center, 데이터 센터의 모든 자원을 가상화하여 인력의 개입없이 sw 조작만으로 관리되는 데이터센터
- LOD : Linked Data + Open Data,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웹상에 공개된 연계 데이터를 의미
Section 180. 네트워크 구축
네트워크 : 두 대 이상의 컴퓨터를 연결하여 자원을 공유하는 것
[설치 구조]
- 성형(Star) : 중앙에 중앙 컴이 있고 이를 중심으로 단말장치 연결되는 중앙 집중식, 포인트 투 포인트 방식
- 링형, 루프형 : 컴과 단말장치들을 서로 이웃하는 것끼리 연결시킨 포인트 투 포인트 방식
- 버스형 : 한 개의 통신 회선에 여러 대의 단말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형태
- 계층형, 분산형 : 중앙 컴과 일정 지여그이 단말장치까지는 하나의 통신 회선으로 연결, 이웃하는 단말장치는 일정 지역 내에 설치된 중간 단말장치로부터 다시 연결시키는 형태, 분산처리
- 망형 : 모든 지점의 컴퓨터와 단말장치를 서로 연결한 형태, 노드의 연결성이 높음
[분류]
- 근거리 통신망(LAN) : 주로 버스나 링
- 광대역 통신망(WAN) : 근거리로 계속 연결
LAN 표준안
- IEEE 802
- 802.11
https://m.blog.naver.com/lalalalala15/221923487244 참고
NAT(네트워크 주소 변환) : 한 개의 정식 IP주소에 대량의 가상 사설 IP 주소를 할당 및 연결하는 기능, IP 마스커레이드 이용하여 해결가능(리눅스)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정리 2023년 1회 (1) | 2023.07.13 |
---|---|
[정보처리기사 실기] sec181 ~ 190 (0) | 2023.07.13 |
[정보처리기사 실기] sec163 ~ 173 (0) | 2023.07.12 |
[정보처리기사 실기] sec142 ~ 148 (0) | 2023.07.12 |
[정보처리기사 실기] sec133 ~ 141 (0) | 2023.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