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AngzavA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정리 2020년 2회 본문

정보처리기사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정리 2020년 2회

이앙지 2023. 7. 19. 00:02

1. RTO

귀하는 IT회사의 보안관제실에서 근무하고 있다. 정보시스템 운영 중 자연재해나 시스템 장애 등의 이유로 대고객 서비스가 불가능한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를 대비하여 백업 및 복구 솔루션을 도입하고자 한다.
백업 및 복구 솔루션은 (            )와 복구 목표 시점(RPO) 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 제품으로 선정해야 한다. (           )는 
“비상사태 또는 업무중단 시점으로부터 업무가 복구되어 다시 정상가동 될 때까지의 시간” 을 의미하고 복구 목표 시점(RPO)는 
"업무 중단 시 각 업무에 필요한 데이터를 여러 백업 수단을 이용하여 복구할 수 있는 기준점"을 의미한다.

RPO recovery point object 백업 이후 장애 전까지 복구가 필요해진 시간

RTO recovery time object 복구를 하는 데에 들어가는 시간

 

 

2. AJAX

'비동기식 자바스크립트 XML'을 의미하는 용어로, 클라이언트와 웹서버 간에 XML 데이트를 내부적으로 통신하는 
대화식 웹 애플리케이션의 제작을 위해 사용된다.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해 웹서버에서 로딩된 데이터를 웹 브라우저의
페이지에 보여주기 위해 웹 페이지 전체를 '새로고침'할 필요 없이 즉, 현재 페이지에서 필요한 일부만 로딩되도록 하는 웹 개발 기법을 의미한다.

 

 

3. 애자일 방법론

고객의 요구사항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 일정한 주기를 반복하면서 개발하며 고객에게 시제품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며 고객의 요구사항이 
정확하게 반영되고 있는지 점검한다. 폭포수 모형에 대비되는 유연한 방법론으로 비교적 소규모 개발 프로젝트에서 각광받고 있는 개발 방법론이다.

 

 

8. IPsec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3계층)인 인터넷 프로토콜(IP)에서 '암호화', '인증', '키 관리'를 통해 보안성을 제공해 주는 표준화된 기술

 

 

9. 정적 분석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고, 소스 코드에 대한 코딩 표준, 코딩 스타일, 코드 복잡도 및 남은 결함을 발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테스트 자동화 도구 유형은?

 

 

10. Observer

한 객체의 상태가 바뀌면 그 객체에 의존하는 다른 객체들한테 연락이 가고 자동으로 내용이 갱신되는 방식으로 일 대 다(one-to-many) 의존성을 가지는 디자인 패턴. 
서로 상호작용을 하는 객체 사이에서는 가능하면 느슨하게 결합(Loose coupling)하는 디자인을 사용해야 한다.

옵저버 패턴: 변경이 생기면 자동으로 연락이 가고, 자동으로 내용이 갱신되는 패턴

 

 

11. 안드로이드

리눅스 커널을 기반으로 동작하며 자바의 코틀린 언어로 개발된, 모바일 기기에 주로 사용되는 오픈소스 플랫폼인 운영체제는 무엇인지 쓰시오.

 

 

13.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              )은(는) HTTP 등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XML 기반의 메시지를 교환하는 프로토콜로, Envelope-Header-Body 주요 3요소로 구성된다.
(              )은(는) 유사한 기능을 하는 RESTful로 대체될 수 있다.

 

 

14. 유효성

ㅇ 직관성: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ㅇ (        ): 사용자의 목적을 정확하게 달성하여야 한다. 
ㅇ 학습성: 누구나 쉽게 배우고 익힐 수 있어야 한다. 
ㅇ 유연성: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최대한 수용하며, 오류를 최소화하여야 한다.

UI 4가지 원칙 = 직관성, 유효성, 학습성, 유연성

 

UI 설계 도구

  • 와이어프레임
    • 기획 초기 단계에서 제작하는 것으로 페이지에 대한 대략적인 레이아웃이나 UI 요소 등에 대한 뼈대를 설계
    • 관련 도구 : 손그림, 파워포인트, 키노트, 스케치, 일러스트, 포토샵 등
  • 목업
    • 와이어프레임보다 좀 더 실제 화면과 유사하게 만드는 정적인 형태의 모형
    • 관련 도구 : 파워 목업, 발사믹 목업 등
  • 스토리보드
    • 와이어프레임에 콘텐츠에 대한 설명이나 페이지 간 이동 흐름 등을 추가한 문서
    • 디자이너와 개발자가 최종적으로 참고하는 작업 지침서
    • 서비스 구축을 위한 모든 정보가 담겨 있어야 함
    • 관련 도구 : 파워포인트, 키노트, 스케치, Axure 등
  • 프로토타입
    • 와이어프레임이나 스토리보드 등에 인터랙션을 적용해 실제 구현된 것처럼 테스트가 가능한 동적인 형태의 모형
    • 작성 방법에 따라 페이퍼/디지털 프로토타입으로 나눔
    • 관련 도구 : HTML/CSS, Axure, Flinto, 네이버 프로토나우, 카카오 오븐 등
  • 유스케이스
    • 사용자 측면에서의 요구사항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행할 내용을 기술하는 표준 방법
    • 관련 도구: UML 다이어그램

 

15. Linked Open Data

ㅇ 전세계 오픈된 정보를 하나로 묶는 방식
ㅇ Linked data와 Open data의 합성어
ㅇ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사용
ㅇ RESTful 방식으로 볼 수 있으며, 링크 기능이 강조된 시멘틱 웹에 속하는 기술

 

 

16. 데이터베이스 설계 과정

요구사항 분석 - 개념적 설계 - 논리적 설계 - 물리적 설계 - 구현

 

 

20. 형상 관리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산출물 등의 변경에 대비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소프트웨어 리사이클 기간 동안 개발되는 제품의 무결성을 
유지하고 소프트웨어의 식별, 편성 및 수정을 통제하는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실수를 최소화하고 생산성의 최대화가 궁극적인 목적이다. 
관련 도구로는 CVS, SVN, Clear Case 등이 있다.